티스토리

운바의 IT이야기
검색하기

블로그 홈

운바의 IT이야기

o-m-i.tistory.com/m

IT와 함께 살아가는 삶

구독자
6
방명록 방문하기

주요 글 목록

  • CAP(Consistency, Availability, Partitioning) 이론 1. 모든 속성을 만족할 수 없다는 CAP 이론 가. CAP(Consistency, Availability, Partitioning)이론이란? - 2002년 버클리 대학의 Eric Brewer 교수에 의해서 발표된 분산 컴퓨팅 이론으로, 분산 컴퓨팅 환경은 Consistency, Availability, Partitioning 3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, 이중 두 가지만 만족할 수 있다는 (Pick two) 이론 - 분산 컴퓨팅 시스템이 보장해야 할 3가지 특징(일관성,가용성,부분 결함허용)을 정의하고,분산 시스템은 3가지 중 2가지만 보장할 수 있고(Pick two), 3가지 모두를 보장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는 이론 CAP 이론 모형 C·A·P 설명 Consistency (일관성) - 모든 사용자는 .. 공감수 2 댓글수 0 2020. 12. 24.
  • 데이터 품질관리의 Data Profiling 1. 정합성 체크를 통한 데이터 품질향상, 데이터 프로파일링의 개요 가. 데이터 프로파일링(Profiling)의 정의 - 데이터에 기반한 정합성을 체크하여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보정하는 분석 기법 나. 데이터 프로파일링의 목적 - 데이터정확성 : 비즈니스 사용자에게 정확한 데이터 제공 - 데이터 제어 : 이름, 주소 등 비즈니스 데이터에 대한 정제, 표준화, 보강 및 중복제거 - 데이터 모니터링 : 분석기능을 통한 지속적인 데이터 품질평가 및 변경 내역에 대한 모니터링 제공 2. 데이터 프로파일링 개념도 및 기법 가. 데이터 프로파일링 개념도 - 소스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데이터 프로파일을 통해서 데이터 오류를 식별 - 데이터 크린싱(Cleansing)을 통해서 검출된 오류 데이터를 변경 및 .. 공감수 2 댓글수 0 2020. 12. 24.
  • MMDB(Main Memory Data Base) 1. 실시간 대용량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MMDB의 개요 가. MMDB(Main Memory DataBase)의 정의 -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주기억장치에 상주시켜 데이터베이스 연산을 처리하는 고성능 DB - 데이터베이스 Start-up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를 Memory에 상주시켜 관리 및 운영하는 DB 나. MMDB의 등장배경 - 기존 DBMS처리 성능한계 메모리 가격 하락과 64Bit 운영체제 등장 - 실시간 데이터 처리 요구 증가, 고객의 마인드 변화 2. 기존 Disk기반 DB와의 비교 디스크 기반 DB MMDB 버퍼만 메인메모리에, DB테이블은 디스크 메인 메모리 내에 DB테이블, 인덱스 등 존재 나. Disk 기반 DB와의 특징 비교 구분 디스크 기반 DB MMDB 데이터 저장 장치 디스크 주.. 공감수 2 댓글수 0 2020. 12. 24.
  • DB 샤딩(Sharding) 1. 데이터베이스 확장을 위한 샤딩의 개요 가. 샤딩(Sharding)의 개념 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파티셔닝 하는 기술 - 샤딩은 DBMS 레벨에서 데이터를 나누는 것이 아니고 데이터베이스 자체를 수평분할 방식으로 분산저장하고 조회하는 방법 나. 샤딩(Sharding)의 장점 1) 성능개선: 큰 데이터를 압축, 개별테이블은 각샤드에서 더 빠른 작업을 지원 2) 신뢰성개선: 한 샤드가 실패하더라도 다른 샤드는 데이터서비스를 제공 3) 위치추상화: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베이스에 위치해 있는지 알 필요가 없음 2. 샤딩의 개념도 및 데이터베이스 분할방법 (Sharding) 가. MongoDB의 샤딩 개념도 - 샤드키로 설정된 칼럼의 범위를.. 공감수 1 댓글수 0 2020. 12. 24.
  • CI(Continuous Integration) 1. CI(Continuous Integration )의 개요 1-1. CI(Continuous Integration )의 정의 - 여러 명으로 구성된 팀이 작업한 것을 자주 통합 하는 것을 가리키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랙티스 - 매번 이루어지는 통합은 자동화된 빌드와 테스트를 통하여 통합 에러가 없는지 가능한 빨리 검증되며 통합 시에 발생하는 문제도 조기 발견되어 단위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킴 1-2. CI(Continuous Integration )의 특징 - 소스코드 일관성 유지 - 소스코드 자동빌드 - 빌드 과정에서의 자동화 테스트(기능/비기능) - 일일 체크아웃과 빌드를 통한 코드 무결성 유지 2. CI(Continuous Integration)의 구성도, 구성요소, 주요프로세스 2-1. CI(Con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11. 21.
  • 테스트자동화 1. 테스트자동화의 개요 1-1. 테스트자동화의 정의 - 소프트웨어 개발 시 포함되는 다양한 테스트 과정을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자동화 도구를 사용하여 반복성, 일관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테스트 기법 1-2. 테스트자동화의 특징 구분 설명 추적성 부여 설계부터 실행까지 전반적인 테스트 활동에 추적성, ALM과 연계 비용 감소 인적/물적 자원 절감 재사용성 강화 Repository 운영, 테스트케이스/테스트오라클의 재사용 품질 향상 반복테스트, 회귀테스트, 성능/강도 테스트 주기적 시행 2. 테스트자동화의 자동화도구, 상세 도구 2-1. 테스트자동화의 자동화 도구 2-2. 테스트자동화의 상세 도구 자동화 도구 설명 테스트 관리도구 테스트 계획수립, 요구사항 및 버그 추적관리 등을 지원 하는 도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9. 22.
  • V&V(Verification & Validation) 1. V&V(Verification & Validation)의 개요 1-1. V&V(Verification & Validation)의 정의 - 개발 단계별 산출물의 단계 초기에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(Verification)와 구현된 S/W가 사용자 요구사항 및 기대치를 만족하는지(Validation) 검증 및 확인하는 활동 1-2. V&V(Verification & Validation)의 특징 특징 설명 테스트 레벨 각 레벨은 서로 독립적, 각각의 계획, 전략, 기법, 주체가 있음 조기 테스팅의 중요성 정적 테스팅(리뷰형태)으로 리스크 및 비용 절감 결함예방 차원의 테스팅 결함 발견 및 수정비용 저렴 Verification 각 개발 단계의 산출물이 이전 단계의 요구사항 및 조건에 부합하는지 검증. 제.. 공감수 2 댓글수 0 2019. 9. 20.
  • 빅데이터(Big Data) 1. 빅데이터의 개요 1-1. 빅데이터의 정의 - 대량의 흩어진 데이터를 수집, 저장, 발굴, 분석 하여 2차 데이터로 만들어 내고 이를 비즈니스화 하는 일련의 과정 1-2. 빅데이터의 특성 - 데이터의 규모가 방대하고(Volume), 데이터의 종류가 다양하며(Variety),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적시에 해결해야 하는(Velocity) 특성을 가지고 있음 2. 빅데이터의 분석 플랫폼, 관리기술 2-1. 빅데이터의 분석 플랫폼 2-2. 빅데이터의 관리기술 기술 구분 설명 필요 기술 원본 데이터 저장 - 대용량 분산 파일 저장 - 로그 기반 데이터 포함 - Hadoop File System - MapReduce 구조적 데이터 저장 - 대용량 분산 데이터 저장소 - DBMS의 처리 한계 대체 기술 -NoS.. 공감수 0 댓글수 0 2019. 9. 19.
  • 3D프린팅 1. 3D프린팅의 개요 1-1. 3D프린팅의 정의 - CAD 프로그램으로 설계한 파일, 산업용 스캐너, 의료용 스캐너, 비디오 게임 등의 3차원 설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물 모형, 프로토타입, 툴 및 부품 등을 인쇄하듯 만들어 내는 기술 1-2. 3D 프린팅 장점 장점 내용 다품종 소량생산 하나의 물건만 찍어내도 적은 비용 모양 어떤 모양이든 자유롭게 만들어 낼 수 있음 프로토타입 프로토타입을 반복해서 만들어내는데 적합 2. 3D프린팅의 절차 및 주요 기술 방식 2-1. 3D프린팅의 절차 단계 설명 Activity 모델링 3D 물체의 설계 도면 작성 과정 - CAD와 같은 도구로 물체를 3차원으로 구성 - CAD, CT 파일 등을 STL format으로 변환하는 단계 프린팅 원료를 쌓아 올려 제품 생산 .. 공감수 0 댓글수 0 2019. 9. 17.
  • 인메모리컴퓨팅 1. 인메모리컴퓨팅의 개요 1-1. 인메모리컴퓨팅의 정의 - 분석과 트랜잭션 처리 시에 즉각적인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버의 메모리 내에 대량의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는 기술 (2012, 2013년 가트너 10대 전략 기술) -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주 데이터 저장을 디스크가 아닌 메모리를 이용하는 컴퓨팅 스타일 1-2. 인메모리컴퓨팅의 등장배경 및 특징 2. 인메모리컴퓨팅의 개념도, 주요기술 2-1. 인메모리컴퓨팅의 개념도 2-2. 인메모리컴퓨팅의 주요기술 구분 주요기술 설명 H/W 멀티코어 아키텍처 대용량 병렬처리(MPP) 환경 지원 블레이드당 8*8 코어를 통해 압축, 복원 및 검색 Blade Server 복수개의 블레이드로 대용량 병렬처리 64 Bit Address Space 서버당 2TB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9. 16.
  • WoT(Web of Things) 1. WoT(Web of Things)의 개요 1-1. WoT(Web of Things)의 정의 - 웹기반 기술을 통해 사물들이 쉽게 통신할 수 있도록 제반 프로토콜과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플랫폼 1-2. WoT(Web of Things)의 특징 1) 기술적 관점 : 서비스의 검색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, 네트워크의 생명력이 뛰어나 어느 한 부분이 활용 불가능하더라도 우회 네트워크(loosely coupled network) 할 수 있으며, 무엇보다도 요즘 개발자들에게 무척 친숙한 기술 2) 물리적 관점 : 웹은 브라우징이 가능하고 하루 네트워크에 상관없이 HTTP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각종 방화벽을 넘나들 수 있음 2. WoT(Web of Things)의 적용모델, 사물웹 브로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9. 8.
  • oneM2M 1. oneM2M의 개요 1-1. oneM2M의 정의 - 글로벌 차원에서의 M2M 표준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TTA, ATIS, ETSI등 7개의 표준 개발 기관 주도로 이루어지는 ‘12년 1월에 oneM2M 명칭의 글로벌 M2M 표준화 활동 1-2. oneM2M의 목표 - 다양한 M2M 응용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공통 사례 개발 - 아키텍처에 기반을 둔 글로벌 M2M 서비스 계층 표준 규격 및 보고서 개발 - 개발된 표준을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, 제품 생산 비용 절감, 시장 진입시간 단축, 응용서비스 개발 단순화 등을 실현 2. oneM2M의 아키텍처, 구성요소, 종래 사물인터넷 비교 2-1. oneM2M의 아키텍처 2-2. oneM2M의 구성요소 구분 설명 CSE (Common Serv.. 공감수 0 댓글수 0 2019. 9. 7.
  • IoE(Internet of Everything) 1. IoE(Internet of Everything)의 개요 1-1. IoE(Internet of Everything)의 정의 - IoT(Internet of Thing)의 진보적 개념으로 사람은 물론 프로세스, 데이터, 사물 등 세상의 모든 것들을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기술 (Cisco) - IoT에서 연결되지 않은 세상의 나머지 99%까지 모두 인터넷에 연결돼 실시간 상호 소통함으로써 전례 없는 가치를 창출해내는 시대 - 인터넷(전자기기) > 사물인터넷(IoT:모든 사물) > 만물 인터넷 (IoE:세상 모든 것) 1-2. IoE(Internet of Everything)의 특징 - IoT가 단순히 기술의 집합체라면 IoE는 실시간 연결성을 통해 지금과는 전혀 다르게 변화될 “미래의 생활방식” - 사물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9. 3.
  • M2M(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) 1. M2M(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)의 개요 1-1. M2M(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)의 정의 - 주변의 사물이나 기기에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설치한 후, 이를 통하여 수집되거나 상호 공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혹은 사물 자체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 - 모든 사물, 기기가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사물 또는 사람이 사용하는 기기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전달하는 서비스 1-2. M2M(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)의 특징 특징 내용 On Demand 패러다임 탈피 사람의 요구입력에 따라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문형 패러다임을 탈피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지능형 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9. 2.
  • 사물인터넷(IoT, Internet of Things) 1. 사물인터넷(IoT, Internet of Things)의 개요 1-1. 사물인터넷(IoT, Internet of Things)의 정의 - 인간과 사물, 서비스를 포함하는 인간 주변 환경(Ambient Environment)을 상호 연결해주는 사물공간 연결망 - 인간과 사물, 서비스 세 가지 분산된 환경 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, 네트워킹, 정보 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 1-1. 사물인터넷(IoT, Internet of Things)의 패러다임 2. 사물인터넷(IoT, Internet of Things)의 개념도, 구성요소 2-1. 사물인터넷(IoT, Internet of Things)의 개념도 2-2. 사물인터넷(IoT, Internet o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9. 1.
  • MEAP(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) 1. MEAP(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)의 개요 1-1. MEAP(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)의 정의 - 기존 스마트폰별 앱 개발 방식의 한계를 해결하는 모바일 오피스 구현 방식중 하나(가트너) - 다수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모바일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- 단말 환경의 다양성에 대응하고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공유하여 재활용되는 플랫폼 1-2. MEAP(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)의 특징 - 원소스 멀티유즈(One Source Multi-use) - 자유로운 플랫폼과 단말기 지원(Any Device Any Platform) - 한번의 개발로 어디서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8. 31.
  • 터치스크린(Touch Screen) 1. 터치스크린(Touch Screen)의 개요 1-1. 터치스크린(Touch Screen)의 정의 - 키보드, 마우스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위치에 사람의 손, 팬이 닿으면 위치를 파악해 기능을 처리하는 패널 1-2. 터치스크린(Touch Screen)의 특징 1) 사용자친숙 : 비교적 쉬운 UI로 누구나 쉽게 이용 2) 공간절약 : 키패드를 위한 별도 공간 절약, 산업현장 활용 3) 한정된 입력 : 사용자 입력값 제한으로 App 오류 낮춤 2. 터치스크린(Touch Screen)의 구조도, 구성요소 2-1. 터치스크린(Touch Screen)의 구조도 2-2. 터치스크린(Touch Screen)의 구조요소 구분 내용 기존 Display 터치스크린을 장착하기 위한 대상 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8. 30.
  • USIM(제3세대 단말기 내의 범용가입자 식별모듈) 1. USIM의 개요 1-1. USIM의 정의 - 가입자 정보를 탑재한 SIM(subscriber identity module) 카드와 UICC(universal IC card)가 결합된 형태로써,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,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한 장의 카드에 구현한 범용가입자 식별 모듈 1-2. USIM의 특징 특징 내용 표준화 - 상호운용을 위한 정보규격화, GSM, CDMA, 로밍지원 SIM(GSM기반), UIM(CDMA기반)의 통합, 진화 데이터 - 비밀인증데이터, 휴대전화번호 등 사용자정보 저장 개인정보관리 - ESM(Electronic Serial Number), 서비스정보입력 부가서비스 - 수신제한(CAS), 컨텐츠저작권관리(DRM) 연계 보안강화 - 복수의 비공개 키알고리즘, 상.. 공감수 0 댓글수 0 2019. 8. 28.
  • 안드로이드(Android) 1. 안드로이드(Android)의 개요 1-1. 안드로이드(Android)의 정의 - 운영체제, 미들웨어, 중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임베디드 디바이스를 위한 SW스택 - 2007년 11월 공개된 구글의 안드로이드(Android)는 휴대폰개발에 필요한 SW플랫폼 일체를 제공하는 공개SW 1-2. 안드로이드(Android)의 특징 - 리눅스 커널상에 네이티브 코드로 동작하는 라이브러리군과 ‘Dalvik가상머신(Dalvik VM, 비표준 JAVA Virtual Machine)’이라 부르는 독자 VM 실행환경, 그리고 그 위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구성 - 리눅스를 커널에 채택 : 새로운 하드웨어나 주변기기에 대응하기 쉬워짐 2. 안드로이드(Android)의 구성도, 구성요소 2-1. 안드로이드(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8. 27.
  • 소셜서비스플랫폼(Social Service Platform) 1. 소셜서비스플랫폼의 개요 1-1. 소셜서비스플랫폼의 정의 - SNS + 어플리케이션 - 거의 모든 형태의 온라인 서비스와 연동되어 “소셜X” 형태를 띠면서 타 산업의 소비를 촉진하는 새로운 유형의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1-2. 소셜서비스플랫폼의 출현 배경 - 기존 인터넷/통신사업자 영역으로 확대 . SNS 플랫폼 사업자가 가입자 유치를 위해 메시지, 영상통화, 그룹채팅 등의 기능제공을 확대하면서 통신사업자에게는 위협적인 결과 초래 - 정보의 유통경로 또한 인터넷 사업자가 제공하는 정보 포털이 아닌 SNS로 변화하는 추세확대. 기존 인터넷사업자의 빠른 SNS대응이 촉구되고 있으며, 실제로 자사서비스 및 플랫폼을 SNS와 연동하는 사업자가 더욱 증가 2. 소셜서비스플랫폼의 구성도, 구성요소 2-1. 소셜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8. 26.
  • 소셜큐레이팅 (Social Curating) 1. 소셜큐레이팅의 개요 1-1. 소셜큐레이팅의 정의 - 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생성되는 빅데이터에서 사용자들의 관심사에 대해 소셜 필터링 및 마이닝 기술을 통하여 선호도에 따라 정보에 가치를 부여하는 서비스 1-2. 소셜큐레이팅의 등장배경 - 정보과잉 시대: 빅데이터 환경에서 마이닝을 걸쳐 선책정보의 가치부여 필요 - 정보 소비형태 변화: 정보소비에 있어 정확성 및 신뢰성 요구 2. 소셜큐레이팅의 정보추출 절차 및 기반기술 분석 2-1. 소셜큐레이팅의 정보추출 절차 1) Search & Discover - 웹/소셜 컨텐트 및 개인 컨텐츠의 시맨틱검색, 추천을 통한 적합정보의 발견 2) Filter & Group -개인 및 집단의 관점별 컨텐츠 필터링과 지능적 분류, 군집, 랭킹 3) Publish & A.. 공감수 1 댓글수 0 2019. 8. 23.
  • 소셜커머스(Social Commerce) 1. 소셜커머스의 개요 1-1. 소셜커머스의 정의 - 소셜네트워크서비스(SNS)와 상거래가 결합된 전자상거래 방식으로, 소비자와 판매자가 의견을 교류하며 서로 Win-Win할 수 있는 상거래 모델 - 소셜커머스는 판매 촉진을 목적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(SNS)를 활용하는 것을 총칭 1-2. 소셜커머스의 특징 참여업체 측면 - 지역기반 소규모 업체로 집중되며 대량 판매 - 종일 소셜 커머스 사이트를 통해 충분한 광보 효과 소비자 측면 - 50% 이상의 높은 할인율로 상품구매 - 정해진 시간 이후에는 환불이 불가 소셜커머스 사이트 측면 - 매출의 일정액을 수수료로 받음 - 1:多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 마케팅 2. 소셜커머스의 개념도, 유형 2-1. 소셜커머스의 개념도 2-2. 소셜커머스의 유형 유형 설명 .. 공감수 2 댓글수 0 2019. 8. 22.
  • 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 1. 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의 개요 1-1. 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의 정의 - 전사적으로 산재해 있는 이기종 어플리케이션을 비즈니스 프로세스 차원에서 통합해주는 솔루션 1-2. 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의 필요성 - Time to market : 어플리케이션 통합 비용, 시간 단축 필요 - 프로세스 통합 : 기업 내 패키지형 소프트웨어가 산재되어 프로세스, 데이터통합 필요 - 유지보수 비용 : Peer-to-Peer 방식의 유지보수 비용 급증 - 비즈니스 연계 : 기업간 협업체계 구축 위한 기반 체계 필요 2. 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.. 공감수 2 댓글수 0 2019. 8. 17.
  • ESB(Enterprise Service Bus) 1. ESB(Enterprise Service Bus)의 개요 1-1. ESB(Enterprise Service Bus)의 정의 - Web Service, Intelligent Routing, Transformation 기술을 기반으로 SOA를 지원하는 미들웨어 플랫폼 1-2. ESB(Enterprise Service Bus)의 특징 - Loosely Coupled: WSDL, SOAP, Message 전송통신 등 표준 인터페이스 기반 통신 - Event Driven, Message Driven, Service driven architecture 지원 - 다양한 표준지원: .NET, .COM, .JCA, .JDBC 2. ESB(Enterprise Service Bus)의 동작 개념도, 요소기술 2-1. .. 공감수 0 댓글수 0 2019. 8. 15.
  • XRX (XForms,REST and XQuery) 1. XRX (XForms,REST and XQuery)의 개요 1-1. XRX (XForms,REST and XQuery)의 정의 - Xforms,REST,Xquery를 근간으로 Application Data를 Web Client와 Web 서버에 동시에 XML포맷으로 저장하여, 포맷 간의 전송을 필요로 하지 않는 W3C 표준 기반의 WEB Applicatio Architecture - 웹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와 웹서버 간에 XML 기반 데이터통신 시 데이터를 포맷변환 없이 사용하기 위한 XForm, REST, XQuery기반 웹 아키텍처 1-2. XRX (XForms,REST and XQuery)의 특징 1) 데이터와 표현불리 (XFrms특징) : CSS,SML을 이용하여 비즈니스 데이터와 프리젠테이션을.. 공감수 0 댓글수 0 2019. 8. 14.
  •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1.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의 개요 1-1.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의 정의 -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환경에서 자원의 존재/상태 정보를 표준화된 HTTP 메소드로 주고받는 SW아키텍처 스타일 1-2.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의 특징 1) Stateless :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Stateless 상태 2) URI 사용 : 자원표현의 위치를 검색 및 접근 3) HTTP 사용 : HTTP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 송/수신 2.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의 구성도, 구성요소, 개체간의 상호작용 2-1. REST(Representati.. 공감수 0 댓글수 0 2019. 8. 13.
  • LOD(Linked Open Data) 1. LOD(Linked Open Data)의 개요 1-1. LOD(Linked Open Data)의 정의 - 전 세계의 오픈된 데이터를 하나로 묶는 작업을 의미하며, 차세대 웹인 시멘틱 웹으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 작업에 해당 - W3C SWEO(Semantic Web Education & Outreach Interest Group) Community에서 웹의 다양한 공개 데이터 셋을 RDF Linked Data형태로 발행하여, 데이터 리소스들을 연결, 웹을 확장하자는 운동으로 전개 1-2. LOD(Linked Open Data)의 주요기능 1) 공개성: 데이터를 웹에 공개, 공유할 수 있음 2) 접근성 : URI를 통한 데이터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며, HTTP 프로토콜 사용하여 웹상에 표현이 가능함 .. 공감수 0 댓글수 0 2019. 8. 12.
  • BPEL(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) 1. BPEL(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)의 개요 1-1. BPEL(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)의 정의 -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정의하고, 정의된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실행, 제어하기 위한 XML기반의 표준 언어 -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정의된 Rule을 기반으로 프로세스를 실행, 제어하기 위한 XML 기반의 표준 언어 1-2. BPEL(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)의 필요성 -패러다임변화: 협업적 비즈니스의 중요성에 따른 서비스간의 통합관리 -경영방법의 가시화: 부가가치 낮은 비효율적 업무평가 및 업무재설계 -관리의 용이성: 분산 서비스 컴포넌트의 제어의 용이성 및 컴포넌트의 통합모니터링 및 관리.. 공감수 0 댓글수 0 2019. 8. 10.
  • SaaS(Software as a Service) Escrow 1. SaaS Escrow의 개요 1-1. SaaS Escrow의 정의 - SaaS 운용 소프트웨어(Application)에 대한 기술자료 임치와 SaaS 사용권자의 데이터 보호를 신뢰성 있는 제3기관에 의뢰하여 SaaS서비스 지속성과 데이터 안정성 보장을 위한 서비스 - SaaS를 통한 서비스 제공시 사업자와 사용권자의 신뢰관계를 3자가 보증함으로 SaaS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 1-2. SaaS Escrow의 필요성 - SaaS 서비스의 갑작스런 중단으로 인한 사용권자의 영업활동 피해의 최소화 수단 필요 - SaaS 서비스의 갑작스런 중단시 사용권자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데이터의 완전성 보장 필요 - SaaS는 서비스가 외부에서 지원되며, 데이터도 SaaS 업체에서 보유하고 있어 기존 기술 임치.. 공감수 0 댓글수 0 2019. 8. 9.
  • Key Escrow 1. Key Escrow의 개요 1-1. Key Escrow의 정의 - 이용자가 자신의 암호키 분배 개인키(비대칭 기반 개인키)를 키복원 정보로 변환하여 키복원 지원기관에 보관하고, 필요시 암호키 분배 개인키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1-2. Key Escrow의 필요성 - 암호키의 역기능인 암호키 분실시 복구하지 못하는 문제의 해결 방법 - 개인의 경우 암호키 분실시 암호화된 문서를 해독하지 못해 암호화된 문서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 2. Key Escrow의 개념도, 위탁/복구 절차 2-1. Key Escrow의 개념도 2-2. Key Escrow의 위탁/복구 절차 구분 절차 위탁∙보관 과정 이용자 B는 자신의 암호키 분배 개인키를 자신의 패스워드로 암호화하여 “키추출정보”를 생성 B는.. 공감수 0 댓글수 0 2019. 8. 8.
    문의안내
    • 티스토리
    • 로그인
    • 고객센터

   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.

    © Kakao Corp.